본문 바로가기
생활, 일상

2024년 연말정산 신청 방법 및 2025년 복지혜택

by 지정아빠 2025. 1. 8.

2024년 연말정산 조회 방법

  1. 홈택스 또는 손택스 접속
    •    PC에서는 홈택스(www.hometax.go.kr), 모바일에서는 손택스 앱을 이용합니다
  2. 로그인
    •    공동인증서, 아이디, 또는 지문인증을 통해 로그인합니다
  3. 환급금 조회 메뉴 선택
    •    홈택스: 'My 홈택스' → '장려금·연말정산·기부금' 메뉴 클릭 → '편리한연말정산' 년도 설정

  4. 2024년 연말정산 자동계산
    •    급여 등 공제 사항 및 세금 항목 입력
    •    입력후 나오는 계산 결과로 조회 가능

환급금 신청 방법

  1.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
  2. 환급금 조회 및 신청
    •    '납부.고지.환급' 메뉴에서 환급금 상세조회을 클릭합니다.
    •    '국세환급금찾기' 또는 '환급급 상세조회' 버튼을 선택합니다.
  3. 기본정보 입력
    •    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예상 환급금과 산출 내역을 확인합니다
  4. 환급 계좌 입력
    •  환급받을 계좌 정보를 입력합니다

주의사항

  •  환급액이 여러 해에 걸쳐 발생한 경우, 각 연도별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
  •  환급 신청 후 2개월 이내에 신청한 계좌로 환급금이 지급됩니다.
  •  최초 지급요구일부터 5년이 지나면 찾아가지 않은 환급금은 국고로 귀속됩니다

이러한 방법을 통해 연말정산 환급금을 쉽게 조회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. 환급금 신청은 수수료 없이 세무서 방문 없이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, 홈택스나 손택스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

근로장려금 및 자녀장려금 신청

구분대상자산정 대상신청 시기신청 방법
반기 신청 근로소득자 2024년 상반기 소득 2024.09.01~09.19 1. ARS 전화 (1544-9944)
2. 홈택스 웹사이트
3. 손택스 모바일 앱
4. 세무서 방문
    2024년 하반기 소득 2025.03.01~03.17 1. ARS 전화 (1544-9944)
2. 홈택스 웹사이트
3. 손택스 모바일 앱
4. 세무서 방문
정기 신청 근로·사업·종교인 소득자 2024년 연간 소득 2025.05.01~05.31 1. ARS 전화 (1544-9944)
2. 홈택스 웹사이트
3. 손택스 모바일 앱
4. 세무서 방문

 

2025년 주요 복지 혜택

분야정책/제도주요 내용
소득 지원 기준중위소득 인상 4인 가구 기준 월 195만 1,287원으로 6.42% 인상
  생계급여 인상 4인 가구 기준 월 195만 1,287원으로 인상
  기초연금 인상 월 343,510원으로 2.6% 인상
의료 지원 의료급여 개선 본인부담체계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개편
  건강생활유지비 확대 월 6천 원에서 1.2만 원으로 2배 확대
노인 복지 노인일자리 확대 109.8만 개로 확대
  경로당 지원 강화 난방비 6만 원, 양곡비 21만 원 인상
장애인 지원 장애인 일자리 확대 33.5천 명으로 확대
  장애인연금 인상 기초급여 2.6% 인상
자활 지원 자활사업 확대 7.2만 명으로 확대, 급여 3.7% 인상
  자활성공지원금 신설 탈수급 6개월 경과 시 50만 원, 1년 경과 시 추가 100만 원 지급
정신건강 전국민 마음투자 확대 16만 명으로 2배 확대
육아 지원 육아휴직 급여 인상 월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

이 표는 2025년에 시행되는 주요 복지 정책과 혜택을 요약한 것입니다. 개별 정책의 세부 내용이나 적용 조건은 관련 기관의 공식 발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 

그 외 2025년에 받을 수 있는 다른 혜택들은 다음과 같습니다:
  1. 청년 지원 정책:
    •    청년도약계좌: 월 최대 70만원 납입 시 정부 기여금 지원 확대
    •    청년주택드림 대출: 연소득 5천만원 이하 무주택 청년 대상 저금리 대출
    •    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: 지원 기간 12개월에서 24개월로 확대
  2. 교육 지원:
    •    국가장학금: 지원 대상 150만명으로 확대, 지원 구간 9구간까지 연 100~200만원 지급
    •    근로장학금: 교내 13만 5천명으로 확대
    •    주거안정 장학금: 원거리 통학 기초·차상위 대학생 대상 월 20만원 지원
  3. 저소득층 지원:
    •    희망저축계좌: 정부지원금 월 20만원으로 증액
    •    자활성공지원금: 최대 150만원으로 증액
    •    농식품 바우처: 4인 가구 기준 월 10만원으로 인상, 지원 대상 확대
  4. 노인 복지:
    •    기초연금 인상: 단독가구 최대 34만 4천원, 부부가구 최대 54만 9,600원
    •    노인일자리 확대: 총 110만개 제공
    •    평생교육 바우처: 연간 최대 35만원 지원
  5. 의료 지원:
    •    의료급여 본인부담체계 개편: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전환
    •    재택의료 활성화: 의료진 방문 진료 및 돌봄 서비스 제공
    •    치매관리 강화: 치매관리주치의 도입
이러한 다양한 혜택들을 잘 활용하면 2025년에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.